이용대상
: 가족, 이웃 등과의 접촉이 거의 없어 고독사 및 자살위험이 높은 만 65세 이상 노인
- 특화서비스 이용자 특성에 따라 은둔형, 우울형으로 운영(이용자는 수행기관당 최소 50명 이상, 은둔형은 최소 5명 이상)
고독사 및 자살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60세 이상 하향 조정 가능
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돌봄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
구분 | 은둔형 | 우울형 |
---|---|---|
대상 | 가족, 이웃 등과 관계가 단절되어 있으면서, 민ㆍ관의 복지지원 및 사회안전망과 연결되지 않은 만 65세 이상의 자 | 단 정신건강 문제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의 어려움을 겪거나, 가족ㆍ이웃 등과의 관계 축소 등으로 자살, 고독사 위험이 높은 만 65세 이상의 자 |
최소인원 | 최소 5명 이상 | - |
50명 이상 |
구분 | 은둔형 집단 | 우울형 집단 |
---|---|---|
서비스 제공 주기 | 최소 2주 1회 대면(비대면)서비스 |
최소 2주 1회 대면(비대면)서비스 (집단활동 포함) |
필수 프로그램 | 1. 개별상담 2. 외부활동 3. 자조모임(가능한 경우) 4. 중도탈락자 사후관리 5. 지역사회 자원연계 서비스 |
1. 우울증 진단 및 투약 관리 지원 2. 개별사례(상담)관리 제공 3. 집단활동 최소 19회 이상 4. 중도탈락자 사후관리 5. 지역사회 자원연계 서비스 |
서비스 제공방법 | 1:1 사례관리 | 1:1 사례관리, 집단활동 |
구분 | 은둔형 집단 | 우울형 집단 |
---|---|---|
총인원 | 5명 이상 | 45명 이상 |
방법론 | 개별접근 | 개별ㆍ집단접근 |
서비스제공 | 개별 맞춤형 상담 | 개별상담 |
지역사회 적응지원 | 우울증 진단 및 투약 관리 | |
지역사회 자원연계 서비스 | 지역사회 자원연계 서비스 | |
자조모임 및 집단프로그램 | 집단활동 프로그램(원예치료 등) | |
자조모임 | ||
외부활동 프로그램(문화체험 등) | ||
중도탈락자 사후관리 (지역 사회 내 서비스 연계 및 안전 확인) |
중도탈락자 사후관리 (지역 사회 내 서비스 연계 및 안전 확인) |
집단활동 프로그램
자조모임
외부활동 프로그램